
카뮈의 작품(책)
출판년도 | 번역자 | 제목 | 출판사 |
---|---|---|---|
1988 | 이재하 | 결혼(Noces) | 동천사 |
1987 | 김화영 | 결혼(Noces), 여름(L'Été) | 책세상 |
1994 | 우종길 | 결혼(Noces). 여름(L'Été) | 청하 |
2004 | 김화영 | 단두대에 대한 성찰, 독일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 | 책세상 |
1992 | 김웅권 | 무어의 집 | 대성 |
1992 | 유기환 | 반항인(L'homme révolté) | 한마당 |
1986 | 신일숙 | 반항적 인간(L'homme révolté) | 일신사 |
1995 | 박은수 | 반항하는 사람(L'homme révolté) | 인폴리오 |
2003 | 김화영 | 반항하는 인간(L'homme révolté) | 책세상 |
2014 | 김화영 | 손님(L'Hôte), 일러스트: 자크 페랑데즈 | 문학동네 |
1995 | 박명용 | 손님(L'Hôte). 이방인(L'étranger) | 글벗사 |
2007 | 김화영 | 스웨덴 연설 문학 비평 | 책세상 |
2009 | 김화영 | 시사평론 | 책세상 |
2014 | 오영민 | 시시포스 신화(Le mythe de Sisyphe) | 연암서가 |
2016 | 김화영 | 시지프 신화(Le mythe de Sisyphe) | 민음사 |
2004 | 김화영 | 시지프 신화(Le mythe de Sisyphe) | 책세상 |
1994 | 김혜숙 | 시지프스의 신화(Le mythe de Sisyphe). 비평에세이. 표리 | 청하 |
1997 | 이정림 | 시지프의 신화(Le mythe de Sisyphe) | 범우사 |
1991 | 권오석 | 시지프의 신화(Le mythe de Sisyphe) | 홍신문화사 |
1994 | 이재하 | 시지프의 신화(Le mythe de Sisyphe) | 동천사 |
1989 | 정애린 | 시지프의 신화(Le mythe de Sisyphe) | 청년사 |
1988 | 김화영 | 안과 겉(L'envers et l'endroit) | 책세상 |
2013 | 김영래 | 알베르 카뮈 : 태양과 청춘의 찬가 | 토담미디어 |
2010 | 김화영 | 알베르 카뮈 전집 1 : 젊은 시절의 글, 안과 겉(L'envers et l'endroit), 행복한 죽음(La mort heureuse), 결혼(Noces), 칼리굴라(Caligula), 1931~1939 | 책세상 |
2010 | 김화영 | 알베르 카뮈 전집 2 : 작가수첩(Carnets) 1, 시지프 신화(Le mythe de Sisyphe), 이방인(L'étranger), 1939~1942 | 책세상 |
2010 | 김화영 | 알베르 카뮈 전집 3 : 오해(Le malentendu), 독일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, 페스트, 1944~1947 | 책세상 |
2010 | 김화영 | 알베르 카뮈 전집 4 : 여행일기, 계엄령, 정의의 사람들(Les Justes), 시사평론, 1947~1950 | 책세상 |
2010 | 김화영 | 알베르 카뮈 전집 5 : 작가수첩(Carnets) 2, 반항하는 인간(L'homme révolté), 1950~1951 | 책세상 |
2010 | 김화영 | 알베르 카뮈 전집 6 : 여름(L'Été), 전락(La chute), 단두대에 대한 성찰, 적지와 왕국(L'exil et le royaume), 1951~1957 | 책세상 |
2010 | 김화영 | 알베르 카뮈 전집 7 : 작가수첩(Carnets) 3, 스웨덴 연설, 문학비평 (1957-1959) * 문학비평에 수록된 글 : 감옥에 갇힌 예술가, 로제 마르탱 뒤 가르, 루이 기유의 《민중의 집》 서문, 르네 샤르, 장 폴 사르트르의 『구토, 장 폴 사르트르의 『벽』, 샹포르의 《잠언집》 서문, 허먼 멜빌, 이냐치오 실로네의 『빵과 포도주』, 지성과 단두대, 쥘 루아의 『행복한 골짜기』, 앙드레 지드와의 만남, 프랑시스 퐁주의 시집 《사물의 편》에 대한 편지, 장 그르니에의 수상집 『섬』 서문, 장 클로드 브리스빌에게 답하다, 우리의 친구 로블레스, 알베르 카뮈의 마지막 인터뷰, “아닙니다, 나는 실존주의자가 아닙니다…”, 『세르비르』지와의 인터뷰, 시몬 베유, 『뿌리내리기』, 나는 왜 연극을 하는가, 『기슭』지(지중해 문화 잡지) 소개 | 책세상 |
2005 | 김화영 | 여행일기(Journaux de voyage) | 책세상 |
1988 | 이숙희 | 유배받은 땅(L'exil) | 지원북클럽 |
2011 | 김화영 | 이방인(L'étranger) | 민음사 |
2014 | 이정서 | 이방인(L'étranger) | 새움 |
2011 | 김예령 | 이방인(L'étranger) | 열린책들 |
2012 | 김화영 | 이방인(L'étranger) | 책세상 |
2015 | 김화영 | 이방인(L'étranger) | 책세상 |
2014 | 최헵시바 | 이방인(L'étranger) | 더클래식 |
2014 | 유기환 | 이방인(L'étranger) | 홍익출판사 |
2004 | 이휘영 | 이방인(L'étranger) | 문예출판사 |
2013 | 이효숙 | 이방인(L'étranger) | 보물창고 |
2015 | 김옥진 | 이방인(L'étranger) | 심야책방 |
1998 | 최정순 | 이방인(L'étranger) | 일신서적출판사 |
2014 | 북트랜스 | 이방인(L'étranger) | 북로드 |
2014 | 이수진 | 이방인(L'étranger) | 온스토리 |
2015 | 방곤 | 이방인(L'étranger) | 삼성출판사 |
2013 | 김용석 | 이방인(L'étranger) | 부북스 |
1993 | 유혜경 | 이방인(L'étranger) | 소담출판사 |
2012 | 최수철 | 이방인(L'étranger) | 시공사 |
1980 | 이정림 | 이방인(L'étranger) | 범우사 |
2001 | 임해진 | 이방인(L'étranger) | 청목 |
1999 | 정돈영 | 이방인(L'étranger) | 교육문화연구회 |
2003 | 박용철 | 이방인(L'étranger) | 도로시 |
1987 | 함미경 | 이방인(L'étranger) | 을지출판사 |
1990 | 정소성 | 이방인(L'étranger) | 청림출판사 |
1994 | 김용훈 | 이방인(L'étranger) | 여명출판사 |
1998 | 송진희 | 이방인(L'étranger), 전락 | 혜원출판사 |
1999 | 이정림 | 이방인(L'étranger), 전락 | 범우사 |
2011 | 이혜윤 | 이방인(L'étranger), 페스트 시지프 신화 | 동서문화사 |
2013 | 김화영 | 이방인(L'étranger) (일러스트: 호세 무뇨스) | 책세상 |
1993 | 최규남 | 이방인(L'étranger). 전락 | 홍신문화사 |
2000 | 이수화 | 이방인(L'étranger). 전락 | 육문사 |
1993 | 김남주 | 이방인(L'étranger). 행복한 죽음. 유형과 왕국 | 청하 |
2011 | 이기언 | 이인(L'étranger) | 문학동네 |
1991 | 김화영 | 작가수첩 | 책세상 |
1998 | 김화영 | 작가수첩(Carnets) 1 | 책세상 |
2002 | 김화영 | 작가수첩(Carnets) 2 | 책세상 |
1998 | 김화영 | 작가수첩(Carnets) 3 | 책세상 |
1998 | 김화영 | 적지와 왕국(L'exil et le royaume) | 책세상 |
2015 | 이휘영 | 전락(La chute) | 문예출판사 |
1989 | 김화영 | 전락(La chute) | 책세상 |
2012 | 유영 | 전락(La chute) | 창비 |
2015 | 방곤 | 전락(La chute) | 삼성출판사 |
2014 | 이정림 | 전락(La chute) | 범우사 |
1995 | 정돈영 | 전락(La chute), 페스트 | 교육문화연구회 |
2008 | 김화영 | 젊은 시절의 글 | 책세상 |
1996 | 방곤 | 정의의 사람들(Les Justes) | 서문당 |
2000 | 김화영 | 정의의 사람들(Les Justes), 계엄령 | 책세상 |
2009 | 김화영 | 최초의 인간(Le premier homme) | 열린책들 |
2014 | 김화영 | 최초의 인간(Le premier homme), 일러스트: 호세 무뇨스 | 미메시스 |
2012 | 김화영 | 카뮈 그르니에 서한집(Correspondance) | 책세상 |
2013 | 김화영 | 칼리굴라(Caligula), 오해 | 책세상 |
2006 | 김화영 | 태양의 후예 | 책세상 |
2011 | 김화영 | 페스트 | 민음사 |
2014 | 최윤주 | 페스트 | 열린책들 |
2015 | 한수민 | 페스트 | 심야책방 |
2012 | 이휘영 | 페스트 | 문예출판사 |
2013 | 김성범 | 페스트 | 부북스 |
1994 | 유혜경 | 페스트 | 소담출판사 |
1998 | 김화영 | 페스트 | 책세상 |
1993 | 정성국 | 페스트 | 홍신문화사 |
2016 | 유호식 | 페스트 | 문학동네 |
1986 | 김병일 | 페스트 | 학원사 |
1995 | 김용훈 | 페스트 | 여명출판사 |
1989 | 이재하 | 페스트 외 | 동천사 |
1998 | 방곤 | 페스트. 이방인 | 범우사 |
2011 | 김화영 | 행복한 죽음(La mort heureuse) | 책세상 |
1992 | 강경호 | 행복한 죽음(La mort heureuse) | 지문사 |
1990 | 배철웅 | 행복한 죽음(La mort heureuse) | 민예사 |
2004 | 김화영 | 독일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 | 책세상 |
카뮈에 관한 연구 및 카뮈 관련 자료
a. 카뮈에 관한 연구
- 강은경, “A. Camus의 <La Peste>에 나타난 침묵에 관한 연구”, 단국대학교, 1995.
- 고선아, “알베르 카뮈의 이방인에 나타난 사물화 현상 연구”,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2013.
- 고인숙, “『전락 La Chute』에 대한 소고”, 인문과학연구, Vol.1, 1982.
- 권영옥, “「(La) Chute」에 나타난 주인공의 언어의 유희”, 서울대학교 대학원, 1977.
- 권이오, “까뮈의 작품 「전락」에 대한 연극적 고찰”, 프랑스어문교육, Vol.11, 2001.
- 권이오, “알베르 까뮈 텍스트 『전락』의 화법과 시점연구”, 프랑스어문교육, Vol.34, 2010.
- 권이오, “알베르 까뮈의 『전락 La Chute』에 나타나는 의사소통 기능에 관한 연구”, 프랑스어문교육, Vol.16, 2003.
- 권이오, “알베르 까뮈의 『전락』에 나타난 내레이션과 화자”, 프랑스어문교육, Vol.19, 2005.
- 권이오, “알베르 카뮈의 『전락』을 통해 본 열림의 미학”, 프랑스어문교육, Vol.31, 2009.
- 김경희, “A. Camus의 태양과 바다의 변신(Metamorphose)에 대한 이미지 : 이방인을 중심으로”, 숭실대학교, 1990.
- 김동현, “까뮈의 문학적 에쎄 "여름"에 관한 연구”, 아주대학교 논문집, Vol. 9, 1986.
- 김동현, “A. Camus의 "표리"(L' Envers et L'Endroit)에 관한 연구 : A Camus의 에쎄연구 1”, 아주대학교 논문집, 1982.
- 김미경, “Camus의 희곡 작품에 나타난 부조리의 전개”,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, 1974
- 김병익, “카뮈 읽기 8, 젊은 시절의 글, 시사평론”, 본질과 현상, 통권 33호, 2013년.
- 김병익, “카뮈 읽기”, 본질과 현상, Vol.27, 2012.
- 김언지, “La chute 의 주인공을 통해서 본 인간의 죄의식”, Foreign language teaching, No.13, 1982.
- 김연수, “[알베르 카뮈의 소설 〈이방인〉중, 뫼르소] 햇빛 눈부신 날에 울어본 적 있나요?”, 월간 샘터, 34, 2003.
- 김용석, “알베르 카뮈의 <이방인 L'Etranger> 번역본 비교 연구”,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, 2011.
- 김점석, “쟝 타루의 죽음을 통해 본 『페스트』의 의미”, 한국프랑스학논집, Vol.50, 2005.
- 김종우, “판늘루 신부를 통해 본 알베르 카뮈의 종교관”, 프랑스문화예술연구, Vol. 46, 2013.
- 김진식, “알베르 카뮈의 『적지와 왕국』 연구, 한국불어불문학회, 1994.
- 김진하, “문체론적 접근을 통한 알베르 카뮈의 『이방인』 분석과 교육”, 불어불문학연구, 99, 2014.
- 김진하, “알베르 카뮈의 『이방인』 한국어 번역본들에 대한 문체론적 고찰”. 불어불문학연구, 101, 2015.
- 김혜동, "「행복한 죽음」에서 「이방인」으로 ", 論文集/20(-), 27-39, 경희대학교, 1991.
- 김혜동, “〈이방인〉을 통해 본 카뮈의 사회관”, 불어불문학연구, 18, 1983.
- 김혜동, “「이방인」 해석에 관한 비판적 고찰 : 1943-1977”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1985.
- 김호성, “카뮈의 『이방인』에 대한 불교적 이해”, 동서비교문학저널, 2012
- 김화영, 카뮈, 문학과지성사, 1978.
- 김화영, “알베르 카뮈를 위한 노트”, 프랑스문학산책, 세계사, 1989.
- 김화영, “「반항적 인간」의 쟁점 ; 카뮈와 사르트르의 논쟁을 중심으로”, 기독교사상, 33, 1989.
- 김화영, “알베르 카뮈 : 반항과 테러에 대한 성찰”, 예술원보, 통권 제47호, 2003.
- 김화영, 「알베르 카뮈를 위한 노트」, 프랑스 문학 산책, 세계사, 1989.
- 나애리, “작품 <페스트>의 객관적 서술양식 작품 <페스트>의 객관적 서술양식 : 자유 간접 화법을 중심으로”, 논문집, Vol.11, 1993.
- 문나리, “카뮈(Albert CAMUS)의 「Caligula」에서의 행위소 모델 연구”,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, 2006.
- 문영택, “Albert Camus의 문학에 있어서의 반항과 구원의 관계”,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, 1979.
- 박규현, “카뮈의 첫 작품 『안과 겉』과 마지막 작품 『최초의 인간』 비교연구”, 인문과학연구, 제48집, 2005.
- 박동혁, “연극 연출의 사회적 조건에 대한 연구 : Albert Camus의 Les justes를 중심으로”, 성균관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 1982
- 박미리, "Camus 의 「La Mort heureuse」에 나타난 돌의 이미지 연구"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1982.
- 박옥희, “작품 L'Etranger와 La Chute에서의 주어인칭과 동사문제”, 성균관대학교, 1983.
- 박우경, “Camus의 「La Peste」에 나타난 연대의식에 관한 연구”, 아주대학교, 1986.
- 박홍규, “사이드와 카뮈”. 인문연구, 61, 2011.
- 박흠련, “Camus에 있어서의 부조리와 반항에 관한 몇 가지 고찰”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1971.
- 박흠련, “Camus에 있어서의 부조리와 반항에 관한 몇가지 고찰”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1971.
- 변광배, “『이방인』의 재판 장면 재탐사”. 프랑스문화예술연구, 51, 2015.
- 변광배, “알베르 카뮈의 『페스트』 : 나, 우리, 반항”, 외국문학연구, Vol.53, 2014.
- 변광배,“카뮈, 서약, ‘우리’:「자라나는 돌」의 두 장면을 중심으로”, 한국 프랑스학회 추계 학술대회, 2013.
- 부새롬, “칼리큘라는 왜, 무엇과 싸우고 있는가”, 공연과 이론, 통권 55호, 2014.
- 상돈, 박명화, “정의의 아포리아(aporia)외형의 유예제도에 대한 법문학적 이해-카뮈의 <손님>을 예로 하여”, 고려대학교 법학원, 고려법학, 72권, 2014.
- 손보현, “알베르 까뮈의 「정의의 사람들」에 나타난 반항의 의미”, 아주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 2000.
- 송가현, “까뮈의 예술에 대한 소명의식: Jonas ou l'artiste at travail를 중심으로”, 연세대학교, 2001.
- 송민숙, “알베르 카뮈의 극 칼리귤라 연구: 부조리와 잔혹”, 불어불문학연구 36권 1호, 1998.
- 송민숙. “사운드 리믹스를 통해 부조리를 전달하는 퀘벡 테르데좀므 극단의 〈칼리굴라 리믹스〉”, 2013.
- 양기찬, “<칼리큘라>, 삶의 가치에 대한 논증, 공연과 이론”, 통권 55호, 2014.
- 양은경, “Albert Camus의 La Peste, 그 구조와 주제의 비극성”, 건국대학교 대학원, 1995.
- 오은하, “『최초의 인간』 : 카뮈의 알제리 찾기 (Le Premier homme : la recherche de l`Algerie d`Albert Camus)”, 불어불문학연구, 제100집, 2014.
- 유기환, “『이방인』의 살인사건과 리쾨르의 삼중의 미메시스”, 프랑스어문교육, 35, 2010.
- 유기환, “왜 ‘이방인’인가 – 등장인물 뫼르소의 행동과 서술자 뫼르소의 언어 연구”, 프랑스어문교육, 45, 2014.
- 유기환, “정의의 배반성 : 정의의 사람들 Les Justes = Double Face de la Justice”상명대학교 논문집, Vol.17, No.-, 1986
- 윤석진, “Camus의 「La Peste」에 나타난 인간조건에 관한 연구”, 한국외국어대학교, 1989.
- 이경철, “<L'ETRANGER>에서의 빛의 Image 연구”, 아주대학교, 1987.
- 이경해, “Camus의, Noces, L'Envers et l'Endroit, L'Etranger에 나타난 태양의 양면성과 삶과 죽음의 관계”, 한국프랑스학논집, 2004.
- 이경해, “Camus의, Noces, L'Envers et l'Endroit, L'Etranger에 나타난 태양의 양면성과 삶과 죽음의 관계”, 한국프랑스학논집, 제47집(2004) pp.221-234.
- 이기언(Lee Kie-Un), “L'énigme de Meursault ou la dissimulation du langage”, 프랑스어문교육, 19, 2005.
- 이기언, "Camus의 인물들에 있어서 Dualisme : L'Envers et l'Endroit, noces 그리고 La Mort heureuse를 중심으로", 연세대학교 대학원, 1986.
- 이기언, “까뮈와 실존철학”, 지중해지역연구, 제7권, 2005.
- 이기언, “까뮈와 실존철학”, 지중해지역연구, 제7권, 제1호, 2005.
- 이기언, “카뮈와 알제리”, 불어불문학연구, 제95집, 2013.
- 이랑아, “A. Camus의 인간적 반항과 사랑연구 : "La Peste"를 중심으로”, 숙명여자대학교, 1997.
- 이문호, “‘이방인’, ‘페스트’그리고 ‘전락’에 나타난 부조리”, 철학연구, Vol. 35, 1983.
- 이미경, "카뮈(Albert Camus)의 『La mort heureuse』를 중심으로 본 공간과 인물에 관한 연구",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, 2006.
- 이상화, “Camus의 La Peste와 기독교 사상”, 성심여자대학교, 1982.
- 이서규, “카뮈의 반항개념에 대한 고찰”, 철학논총, 75, 2014.
- 이소연, “알베르 카뮈의 『안과 겉』에서 나타난 지중해적 요소 연구”, 연세대학교, 2008.
- 이소연, “알베르 카뮈의 『안과 겉』에서 나타난 지중해적 요소 연구”, 연세대학교, ㅊ2008.
- 이숙희, “A. Camus의 종교관 연구”, 숙명여자대학교, 1984.
- 이신철, “Albert Camus의 <<La Peste>> 고찰 : 그 신화의 재창조성을 중심으로”, 동아논총, Vol.19, 1982.
- 이양재, “L'Etranger, La peste, La chute를 통해본 Albert Camus의 세계의 이중성과 그 변모”, 서울대학교 대학원, 1985
- 이양재, “L'Etranger, La peste, La chute를 통해본 Albert Camus의 세계의 이중성과 그 변모”, 서울대학교 대학원, 1985.
- 이양재, “L’Etranger와 La Peste의 관계 연구”, 불어불문학연구, Vol.22, 1987.
- 이우동, “A. Camus의 La Peste 연구, 연구논문집, Vol.14 No.1, 1974.
- 이은숙, “『페스트』에 나타난 공간의 의미연구”,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, 2001.
- 이해방, “인문과학편 : 카뮈의 < 표리 > 에 나타난 「유년시절」연구”, 상명대학교 논문집 17권, 1986.
- 장영, “Une etude sur la justice et l'humanite chez Camus : 작품 Les justes를 중심으로”,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 1985.
- 장영숙, “Temps du passe dans La Peste : analyse stylistique”, S.N., 1984.
- 정순철, “『페스트』의 공포와 등장 인물들의 공동체 의식 : Camus의 「La peste」를 중심으로”, 논문집, Vol.15 No.1, 1994.
- 정태철, “Albert Camus의 《L'Envers et l'Endroit》 考”, 한국프랑스학논집, 제2집, 1975.
- 조병준, “카뮈의 「손님」과 사르트르의 「벽」이 보여주는 서술공간 비교”, 한국불어불문학회, 불어불문학연구, 100권, 2014.
- 진경환, “Albert Camus의 소설 La chute에 나타난 물의 이미지 분석”, 한국외국어대학교, 1989.
- 진인혜, “물루드 마므리와 알베르 카뮈 그리고 알제리, 인문과학”, 100권, 2014.
- 최성민, “La Peste를 통해서 본 Camus의 휴머니즘에 관한 하나의 고찰 ”, 한국문화연구원 논총, Vol.57, 1990.
- 최윤주, “‘죽음'의 테마를 통해서 본 Albert Camus의 'La Chute' : 정신분석적 해석의 한 시도, 성심여자대학 대학원, 1991.
- 최윤주, “알베르 카뮈의 『이방인 L`Etranger』연구 - "반대 오이디푸스"에서 "반(反) 오이디푸스"로-”, 불어불문학연구, 56, 2003.
- 태선영, “『안과 겉』에 나타난 CAMUS의 평형의식(EQUILIBRE)”, 인문과학연구 2, 1995.
- 하수현, “Albert Camus의 La Chute에 나타난 주인공의 전락의 과정에 관한 연구”, 연세대학교 대학원, 2003
- 하은정, “알베르 카뮈의 칼리귈라에서 나타난 죽음과 자유의 의미”, 연세대학교 대학원, 2006.
- Coppola, “L’ADAPTATION DE L’ETRANGER DE CAMUS PAR VISCONTI”, 프랑스문화예술연구, 34, 2010.
b. 기타 자료
- 가톨릭 뉴스 (서평) 정의의 사람들▶ Link
- 『시지프의 신화 Le mythe de Sisyphe』 에 대한 네이버 캐스트 설명▶ Link
- 『반항적 인간 L'homme révolté』 관련 네이버 리뷰 : 반항은 죄악인가, 희망인가?▶ Link
- Luchino Visconti(루치노 비스콘티)의 영화 ‘Lo Straniero’, ‘L’Étranger‘(이방인),에 대한 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의 소개.▶ Link
- 연극 「페스트」 (공간 소극장, 2015.11.20. ~ 2015.11.21.)▶ Link
- 연극 「페스트」 (극단 송곳, 2016.08.01. ~ 2016.08.07.)▶ Link
- 뮤지컬 「페스트」 (노우성 연출, 2016.07.22. ~ 2016.09.30.)▶ Link
- 연극 「기억을 기억하다 - 페스트」 (정의로운 천하극단 걸판, 2016.05.18. ~ 2016.05.19.)▶ Link
- 연극 「2015 앙코르 고전극장 – 페스트」 (산울림 고전극장, 2015.10.21. ~ 2015.10.31.)▶ Link
- 연극 「2015 산울림 고전극장 - 페스트 (산울림 고전극장, 2015.02.04. ~ 2015.02.15.)▶ Link
- 권기희 글, 이철희 그림, "페스트 (문학고전의 감동을 만화로 만난다)", 채우리, 2013▶ Link