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
청소년기(1923 - 1932)
앙드레 지드 (André Gide) | 1929년 | 카뮈가 가장 존경심을 가졌던 작가. 훗날 카뮈는 지드의 『지상의 양식(Les Nourritures Terrestres)』을 극찬함. |
앙드레 드 리쇼 (André de Richaud) | 1932년 | 소설 『고통(La Douleur)』는 가난으로 응어리졌던 어린 카뮈의 가슴 속 매듭을 풀어주었다고 카뮈는 회고함 |
마르셀 프루스트 (Marcel Proust) | 1932년 | 카뮈가 예술가의 표상으로 삼았던 인물 |
청년기 초반(1933 - 1938)
스탕달(Stendhal) | 1933년 | 카뮈의 독서노트에 1933년 스탕달과 그의 문학에 대하여 언급한 것이 기록되어 있음 |
아이스킬로스(Aeschylus) | 1933년 | 카뮈의 독서노트에 1933년 아이스킬로스의 문학에 대하여 언급한 것이 기록되어 있음 |
안톤 체호프 (Anton Chekhov) | 1933년 | 카뮈의 독서노트에 1933년 안톤 체호프와 그의 문학에 대하여 언급한 것이 기록되어 |
장 그르니에 (Jean Grenier) | 1933년 | 1933년 그르니에의 수필집 『섬(Les Îles』이 출판됨. 1959년 이 책이 다시 출판될 때, 까뮈는 이 책의 서문을 작성함. 이때 그가 20세 때 이 책을 읽었으며, 당시 많은 충격과 영향을 받았다고 술회함. |
앙드레 말로 (André Malraux) | 1933년 | 1938년 말로의 『인간조건』이 공쿠르상을 수상. 이때부터 말로의 모든 작품은 카뮈에게 커다란 영향을 줌. |
플로티누스(Plotin) | 1936년 | 알제대학 철학 고등학위 논문에서 신플라톤주의 철학자 플로티누스의 이론을 심도 있게 소개함. |
성 아우구스티누스 (saint Augustin) | 1936년 | 알제대학 철학 고등학위 논문에서 기독교철학의 대부 아우구스티누스의 이론을 심도 있게 소개함. |
도스토옙스키 (Dostoïevski) | 1938년 | 에키프 극단에서 『카라마조프의 형제들(Frères Karamazov』을 공연할 때, 카뮈는 이반 카라마조프(Ivan Karamazov)역을 맡으며, 도스토옙스키의 문학세계에 매혹됨. |
장-폴 사르트르 (Jean-Paul Sartre) | 1938년 | 『구토(La Nausée)』를 읽고 일간지 <알제 레퓌브리켕(Alger républicain)>의 '독서 살롱'에 서평을 발표함. |
폴 니장(Paul Nizan) | 1938년 | 일간지 <알제 레퓌브리켕(Alger républicain)>의 ‘독서 살롱’에 『음모(La Conspiration)』에 대한 서평을 발표. |